전체 글
내일 채움공제
*내일채움공제 - 14년 8월 이후 - 중소기업과 재직 근로자가 공동으로 공제금을 5년간 적립하고 만기 시 2천만원 이상을 재직 근로자에게 지급 - 적립금 : 매월 34만원 이상을 근로자와 기업이 1 : 2 이상 비율로 5년간 적립 * 청년재직자 내일채움공제 - 18년 6월 이후 - 청년근로자, 중소 및 중견기업, 정부가 공동으로 공제금을 5년간 적립하고 만기 시 3천만원을 청년근로자에게 지급 - 적립금(5년) : 청년 720만원(매월12만원), 기업 1200만원(매월 20만원), 정부 1080만원(7회분할지급) * 청년내일채움공제 - 16년 7월 이후 - 취업 청년, 기업, 정부가 공동으로 공제금을 2년간 적립하고 만기 시 1200만원을 청년근로자에게 지급 - 적립금(2년) : 청년 300만원(매월 1..
![[Linux] rpm명령어, wget명령어](https://img1.daumcdn.net/thumb/R750x0/?scode=mtistory2&fname=https%3A%2F%2Fblog.kakaocdn.net%2Fdn%2Fb9kPSE%2FbtrCuVhmMWQ%2Fg76E3Oxw0w60AZ7VdRvpx0%2Fimg.png)
[Linux] rpm명령어, wget명령어
1. rpm * 레드햇에서 사용하는 패키지 관리 도구로 RPM은 Redhat Package Manager의 약자이다. * yum으로 설치하기 어려운 상황에 많이 사용 * 명령어 정리 - i : 패키지 설치 - v : 설치 과정 확인 - h : 설치 진행과정을 화면에 출력 - U : 패키지 업그레이드 - e : 패키지 삭제 - qa : 설치된 모든 패키지 확인 - qi : 설치된 패키지 정보 확인 - qpl : 패키지 파일에 어떤 파일이 포함되었는지 확인 - V : 패키지 검사 - a : 모든 패키지 2. wget * 파일을 다운로드하는 명령어 * 파일 주소를 알면 하드디스크에 저장할 수 있음
![[Linux] watch명령어](https://img1.daumcdn.net/thumb/R750x0/?scode=mtistory2&fname=https%3A%2F%2Fblog.kakaocdn.net%2Fdn%2FlITNg%2FbtrCumTO44I%2FtJDPmpMyyRVw3a8iKVz19k%2Fimg.png)
[Linux] watch명령어
* watch 명령어는 반복적으로 지정한 명령어를 화면에 출력한다. * 예제 $ watch -n 60 from : 60초마다 메일이 오는지 감시 $ watch -d ls -i : 디렉터리의 내용이 변경되는지 실시간의 확인 $ watch -d 'ls -i : fgrep joe' : 지정한 사용자가 소유한 파일이 변경될 때만 정보를 출력 $ watch -n ,5 'df -h' : 디스크 공간을 0.5초 간격으로 계속 업데이트하며 출력
![[Linux] Bonding(본딩) 설정](https://img1.daumcdn.net/thumb/R750x0/?scode=mtistory2&fname=https%3A%2F%2Fblog.kakaocdn.net%2Fdn%2FETh8L%2FbtrCwgd1TBp%2FlxMUU7SmaoCsfjpx7ZPte0%2Fimg.png)
[Linux] Bonding(본딩) 설정
1. 본딩 * 물리적인 랜카드 두 개를 논리적으로 하나로 묶어서 이중화를 하거나 대욕 폭을 늘릴 때 사용한다. * 네트워크 선로에 문제가 생기거나 NIC 카드에 장애가 발생할 시 네트워크 사용이 원활하지 않을 수 있을 때 이러한 장애에 대비하고자 사용한다. * 상황에 따라 Fail/over 모드로 사용도 가능하다. 2. 본딩 설정 * 본딩 작업을 하기 위해 최소 2개 이상의 NIC가 필요하기 때문에 추가한다. * 본딩 작업을 하기 전에 Slave로 잡을 NIC들과 Bonding을 잡을 인터페이스 이름을 정해야 한다. * Slave는 enp0s8, enp0s9로 잡고 Bonding은 bond0로 잡는다. * Slave로 지정할 네트워크 설정 작업 * enp0s8과 enp0s9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bond..
![[Linux] yum명령어](https://img1.daumcdn.net/thumb/R750x0/?scode=mtistory2&fname=https%3A%2F%2Fblog.kakaocdn.net%2Fdn%2FTQ8Tm%2FbtrCxadhkQc%2FrXaxwg2ovTmSnRvEr9ELFk%2Fimg.png)
[Linux] yum명령어
* 레드햇 계열의 리눅스로 패키지를 관리하기 위해 yum명령어를 사용한다. yum명령어는 Yellow-dog Updater Modified의 줄임말이며 RPM을 통한 패키지 설치를 개선하기 위해 개발되었다. * yum명령어에 대한 설정은 /etv/yum.conf에서 하고 있으며, /etc/yum.repos.d/디렉터리에 있는 파일에 지정된 서버 주소로부터 패키지들을 설치하고 관리할 수 있다. * 사용법
IP 종류
* 공인 IP : 인터넷 사용 가능한 1개의 IP (중복 x) * 사설 IP : ISP를 통해서만 인터넷 사용 가능 (같이 붙어있지 않으면 중복된 다른 네트워크 사용 o) 1. Classful Adressing * Class A - 0~127. 0. 0 . 0/8 (국가별 대규모 네트워크) - Class A Netmask : 255. 0. 0 . 0 * Class B - 128~191. X. 0. 0/16 (공공장소, 공기업, 중소규모 네트워크) - Class B Netmask : 255. 255 . 0. 0 * Class C - 192~223. X. X . 0/24 (일반 통신사 네트워크) - Class C Netmask : 255. 255 . 255 . 0 * Class D - 224~239 (동적 ..
![[Linux]리눅스 정의 및 종류](https://img1.daumcdn.net/thumb/R750x0/?scode=mtistory2&fname=https%3A%2F%2Fblog.kakaocdn.net%2Fdn%2FbHRNKR%2FbtrCwGctL3A%2F1WU890HyWJmMT7cHgpN4M1%2Fimg.png)
[Linux]리눅스 정의 및 종류
1. 리눅스 * 리눅스란 컴퓨터 OS 커널의 일종인 리눅스 커널, 또는 리눅스 커널을 사용하는 운영체제를 가리키는 말이다. 그리고 이를 가지고 각 제조사들이 리눅스 OS를 만들고 배포한다. 그래서 리눅스라고 하면 리눅스 커널 소스를 지칭한다고 생각하는 게 더 바람직하지만, 레드햇, 우분투, 센토스, 페도라 등 리눅스 OS를 리눅스라고 많이 부르기 때문에 처음 접하는 분들은 헷갈릴 수도 있다. 2. 리눅스 OS * 리눅스 OS는 종류가 매우 많은데, 크게 레드햇 계열과 데비안 계열로 나뉜다. 2.1 레드햇 계열 * 레드햇 : 2003년 레드햇 버전 9까지는 오픈소스 라이선스로 진행하다가 이후 상용화되었다. 레드햇은 회사 이름이기도 하다. 정식 명칭은 레드햇 엔터프라이즈 리눅스(RHEL)이다. * 페도라 :..
![[Linux] IP 설정](https://img1.daumcdn.net/thumb/R750x0/?scode=mtistory2&fname=https%3A%2F%2Fblog.kakaocdn.net%2Fdn%2F6kdAW%2FbtrCwGQ2WDD%2FZgIftkDyXLprtlRJJhU7lK%2Fimg.png)
[Linux] IP 설정
1.ifcoifng enp0s3 xxx.xxx.xxx.xxx 2.route add default gw xxx.xxx.xxx.xxx 3.vi /etc/resolve.conf nameserver xxx.xxx.xxx.xxx * BOOTPROTO를 static ip로 설정, ONBOOT는 ON으로 설정, IP, BROADCAST, GATEWAY 주소만 입력 * TYRE : 이더넷 * BOOTPROTO : IP 할당 방식 - static : 아이피 지정 - dhcp : 동적 아이피 - none : 노네 * DEVICE : enp0s3 (이더넷 인터페이스의 종류) * ONBOOT : 부팅 시 자동 활성 여부 * IPADDR : 아이피 주소 * BROADCAST : 브로드캐스트 주소 * GATEWAY : 게이트웨이..
![초고소망 통신사 DNS 서버 주소 모음](https://img1.daumcdn.net/thumb/R750x0/?scode=mtistory2&fname=https%3A%2F%2Fblog.kakaocdn.net%2Fdn%2FT8ZXr%2FbtrCtwaK0Hw%2FRqDyAfl3JIkJJz5hDDrxQK%2Fimg.png)
초고소망 통신사 DNS 서버 주소 모음
* KT olleh DNS - 기본 DNS 서버 주소 - 168.126.63.1 - 보조 DNS 서버 주소 - 168.126.63.2 * SK Broadband DNS - 기본 DNS 서버 주소 - 210.220.163.82 - 보조 DNS 서버 주소 - 219.250.36.130 * LG U+ DNS - 기본 DNS 서버 주소 - 164.124.107.9 - 보조 DNS 서버 주소 - 203.248.252.2 * Google Public - 기본 DNS 서버 주소 - 8.8.8.8 - 보조 DNS 서버 주소 - 8.8.4.4