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. fdisk 명령어 - 주로 파티션 나눌 때 사용
- a : 부트 가능한 플래그로 변경
- b : bsd 디스크 레이블을 편집
- c : 도스 호환 플래그로 변경
- d : 파티션 삭제
- l : 파티션 형태의 목록 출력
- m : 이 메뉴를 출력
- n : 새로운 파티션 추가
- o : 새로운 도스 파티션 테이블을 생성
- p : 파티션 테이블을 출력
- q : 변경을 저장하지 않고 종료
- s : 새로운 Sum 디스크 레이블을 생성
- t : 파티션의 시스템 id를 변경
- u : 표시/엔트리 단위를 변경
- v : 파티션 테이블을 점검
- w : 디스크에 테이블을 저장하고 빠져나감
2. mkfs 명령어 - 파티션 한 하드디스크를 포맷할 때 사용
*옵션
- xfs : 포맷 진행
→ Ex) - (mkfs.xfs /dev/sdb1)
3.mkdir 명령어 - 디렉토리를 생성할 때 사용
*옵션
- p : 디렉토리를 만들 때 상위 디렉터리가 없으면 만든다.(tree명령어를 사용하면 디렉터리, 파일 구조를 트리 형식으로 볼 수 있다.)
- m : 디렉토리를 만들 때 권한까지 지정
4.blkid 명령어 - 파일시스템파일 시스템 타입이 어떻게 구성되어있는지 확인할 때 사용(포맷한 파일 시스템이 무엇인지 알아볼 때)
5.디렉토리 분류
- / : 루트 디렉터리
- /bin : 기본 명령어
- /dev : 장치를 사용할 때 필요한 특수 파일 위치
- /home : 일반 사용자의 홈 디렉터리
- /lib : 공유 라이브러리와 커널 모듈이 위치
- /lost+found : 부팅할 때 파일 시스템에 이상이 있는지 진단, fsck 명령어에 의해 사용
- /mnt : cd-rom과 플로피 장치에 대한 마운트 포인트를 제공
- /opt : 크기가 큰 리눅스 패키지 설치함
- /root : 시스템 관리자 홈 디렉터리
- /sbin : 시스템 운영에 필요한 명령어 위치
- /tmp : 임시 파일을 저장하는 위치
- /usr : 패키지 설치 시 이 디렉터리에 설치됨
- /var : 가변 자료가 저장, 메일, 로그 등등
- /usr/bin : 응용프로그램 설치 시 일반 사용자 명령어가 추가됨
- /usr/sbhin : 응용프로그램 설치시 관리자 명령어가 추가됨
- /var/log : 시스템 로그 파일
- /var/spool/mail : 서버의 메일 임시 보관 장소
6. 파일에 대한 속성
Ex) [root@A1 ~]#ls -al
drwxr-xr-x 5 Root Root 4096 5월 10일 9:15..
허가권 링크수 사용자 그룹 파일크기 생성 날짜 생성시간 파일명
d(디렉터리) -(일반 파일) l(심볼릭 링크 파일) s(소켓 파일) b(블록디바이스용 특수파일) c(문자 파일)
r=읽기(4) w=쓰기(2) x=실행(1)
디렉터리 생성 시 기본 permission은 = 755
파일 생성시 기본 permission은 = 644
'Operating System > Linux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Linux] IP 설정 (4) | 2021.12.20 |
---|---|
[Linux] vi 명령어 정리 (0) | 2021.12.20 |
[Linux]리눅스 서버에 디스크 추가하기 (1) | 2021.12.20 |
[Linux]점검 명령어 (1) | 2021.12.20 |
Linux7.8 다운 및 설치 (0) | 2021.12.16 |